맨위로가기

공통 모드 제거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통 모드 제거비(CMRR)는 차동 증폭기에서 차동 이득과 공통 모드 이득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데시벨(dB) 단위로 표현된다. CMRR은 증폭기가 공통 모드 신호를 얼마나 잘 제거하는지를 나타내며, 값이 클수록 바람직하다. CMRR은 신호 주파수에 따라 달라지며, 전기적 노이즈와 같은 원치 않는 공통 모드 신호가 출력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산 증폭기 및 밸런(Balun)과 같은 다양한 전자 회로에서 사용되며, 높은 CMRR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밀하게 일치하는 부품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증폭기 - 연산 증폭기
    연산 증폭기는 높은 전압 이득을 갖는 직류 결합 증폭기로, 음의 피드백을 통해 신호 처리 기능을 구현하며, 높은 입력 임피던스와 낮은 출력 임피던스를 특징으로 다양한 증폭기, 필터, 연산 회로 설계에 활용된다.
  • 증폭기 - 중합효소 연쇄 반응
    DNA 중합 효소를 사용하여 DNA 특정 부위를 복제 및 증폭하는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은 유전체 연구, 분자생물학, 법의학, 의학 진단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기술로, 캐리 멀리스에 의해 고안되어 발전해왔다.
  • 전기 매개변수 - 항복 전압
    항복 전압은 절연체가 전기를 전도하기 시작하는 임계 전압이며, 전기적 고장 발생 시 급격한 전류 증가와 함께 도달하고 전기 기기 안전 설계에 중요한 요소이다.
  • 전기 매개변수 - 돌입 전류
    돌입 전류는 전원 투입 시 정상 작동 전류보다 큰 전류가 일시적으로 흐르는 현상으로, 낮은 부하 저항, 커패시터 충전, 변압기 철심 자기 포화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전원 회로 손상 및 시스템 불안정을 초래하여 직렬 저항, 돌입 전류 제한기, 예비 충전 회로, 시간 지연 퓨즈, 전압 상승 제어, 저항 투입 방식, 위상각 제어 방식, 고효율 변압기 등의 방법으로 제어한다.
  • 전자공학 - 전자전
    전자전은 적의 전투 능력을 저하시키기 위해 전자기 에너지를 사용하는 군사 작전이며, 전자 공격, 전자 보호, 전자 지원의 세 가지 영역으로 나뉘어 통신 방해, 레이더 교란, 스텔스 기술 등을 포함한다.
  • 전자공학 - 옴의 법칙
    옴의 법칙은 1827년 게오르크 옴이 발표한, 전압(V)은 전류(I)와 저항(R)의 곱(V=IR)으로 표현되는, 전압, 전류, 저항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본 법칙이다.
공통 모드 제거비
개요
정의차동 증폭기가 공통 모드 신호를 억제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약자CMRR (Common-Mode Rejection Ratio)
계산
공식 (전압 이득 기준)CMRR = |차동 모드 전압 이득| / |공통 모드 전압 이득| = Ad / Ac
데시벨 (dB)CMRR(dB) = 20 log10(Ad / Ac)
의미높은 CMRR 값은 공통 모드 신호 제거 성능이 우수함을 의미
영향
전원 공급 장치 잡음CMRR이 높을수록 전원 공급 장치의 잡음이 출력에 미치는 영향 감소
환경 잡음CMRR이 높을수록 환경 잡음으로 인한 오류 감소
응용
정밀 측정 장비정밀 측정 장비의 정확도 향상
오디오 장비오디오 장비의 잡음 감소 및 음질 향상
의료 기기의료 기기의 신호 대 잡음비 (SNR) 개선

2. 증폭기의 CMRR

이상적인 차동 증폭기는 두 입력 전압의 차이에만 반응하여 출력을 생성하지만, 실제로는 두 입력에 공통으로 나타나는 신호(공통 모드 신호)에도 어느 정도 반응한다. CMRR(공통 모드 제거비)은 이러한 공통 모드 신호에 대한 증폭기의 제거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CMRR은 차동 이득과 공통 모드 이득의 비율로 정의되며, 보통 데시벨(dB) 단위로 표시된다. CMRR의 수식은 다음과 같다.

:\mathrm{CMRR} = \left (\frac{A_\mathrm{d}}

\right) = 10\log_{10} \left (\frac{A_\mathrm{d}}{A_\mathrm{cm}} \right)^2 \text{dB} = 20\log_{10} \left (\frac{A_\mathrm{d}}

\right) \text{dB}

여기서 A_\mathrm{d}는 차동 이득, A_\mathrm{cm}은 공통 모드 이득이다. 차동 이득은 공통 모드 이득보다 커야 하므로 CMRR은 양수 값을 가지며, 값이 클수록 좋다.

CMRR은 원치 않는 공통 모드 신호가 출력에 얼마나 나타날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사양이며, 그 값은 신호 주파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함수로 지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노이즈가 많은 환경에서 열전대의 전압을 측정할 때, 환경의 전기적 노이즈는 두 입력 모두에 공통 모드 전압 신호로 나타난다. 측정 기기의 CMRR은 이러한 노이즈를 얼마나 줄일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CMRR은 연산 증폭기, 차동 증폭기 및 계측 증폭기의 중요한 기능이며, 데이터시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높은 CMRR을 위해서는 정밀하게 일치하는 저항기를 사용하여 신호의 양쪽 증폭 차이를 최소화해야 한다. 단일 칩 계측 증폭기는 레이저 트리밍 저항기를 사용하여 100dB 이상, 때로는 130dB까지의 CMRR을 달성하기도 한다.

2. 1. 연산 증폭기 (Op-Amp)

연산 증폭기(Operational Amplification)는 V+영어, V-영어 두 개의 입력과 개방 루프 이득 G를 갖는다. 이상적인 연산 증폭기의 출력은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V_\mathrm{out} = (V_+ - V_-) \cdot G_\mathrm{openloop}

이 식에서는 CMRR이 무한대라고 가정한다. 입력의 변화가 모두 같은 양일 경우, 그 변화는 출력에 나타나지 않는다. 실제로는 그렇지 않으며, CMRR이 작을수록 동상 성분이 출력에 더 크게 나타난다. 전형적인 연산 증폭기인 741의 경우 CMRR은 90dB이며, 많은 경우 이것으로 충분하다. 일반적인 응용 분야에서는 70dB로 충분하지만, 정밀한 용도에서는 120dB 이상의 CMRR을 가진 연산 증폭기가 사용된다.

실제 차동 증폭기의 출력은 다음과 같이 더 잘 설명된다.

:V_{\mathrm{o}} = A_\mathrm{d} (V_+ - V_-) + \tfrac{1}{2} A_\mathrm{cm} (V_+ + V_-)

여기서 A_\mathrm{cm}은 "공통 모드 이득"이며, 일반적으로 차동 이득보다 훨씬 작다.

CMRR은 차동 이득과 공통 모드 이득의 전력 비율로 정의되며, 양의 데시벨(따라서 20 log 규칙 사용)로 측정된다.

:\mathrm{CMRR} = \left (\frac{A_\mathrm{d}}

\right) = 10\log_{10} \left (\frac{A_\mathrm{d}}{A_\mathrm{cm}} \right)^2 \text{dB} = 20\log_{10} \left (\frac{A_\mathrm{d}}

\right) \text{dB}

차동 이득은 공통 모드 이득을 초과해야 하므로, 이것은 양수가 되며 클수록 좋다.

2. 2. 밸런 (Balun)의 CMRR

밸런 (단일 종단에서 차동 변환 회로)의 설계에서는 S-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차동 이득과 공통 모드 이득의 비율로 CMRR을 정의한다.[1]

:\mathrm{CMRR} = |\frac{S_{\mathrm{DS}}}{S_{\mathrm{CS}}} | = | \frac{S_{\mathrm{21}}-S_{\mathrm{31}}}{S_{\mathrm{21}} + S_{\mathrm{31}}} |

여기서 포트 1은 단일 종단 입력이고, 포트 2와 3은 차동 출력이다. 밸런의 CMRR은 차동 출력 간의 이득 및 위상 오차가 얼마나 작은지를 나타낸다. 밸런의 차동 출력 간 위상차가 180°에 가깝고 진폭이 동일하면 CMRR이 높아진다.

3. CMRR의 중요성

CMRR(공통 모드 제거비)은 원치 않는 공통 모드 신호(예: 노이즈)가 출력에 얼마나 나타나는지를 나타내는 매우 중요한 지표이다. CMRR 값은 신호 주파수에 따라 달라지므로, 함수로 지정되어야 한다.

높은 CMRR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밀하게 일치하는 저항(0.1% 이상)을 사용하여 신호의 음수 및 양수 측 증폭 차이를 최소화해야 한다. 단일 칩 계측 증폭기는 레이저 트리밍 저항기를 사용하여 100dB를 초과하고 때로는 130dB까지의 CMRR을 달성한다.

4. 응용 분야

CMRR은 전송선에서 노이즈를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노이즈가 많은 환경에서 열전대의 전압을 측정할 때, 주변의 전기적 노이즈는 두 입력 단자 모두에서 오프셋으로 나타나 전압 신호의 공통 모드 성분이 된다. 측정 장비의 CMRR은 이러한 오프셋 또는 노이즈에 대한 감쇠를 결정한다.[1] 정교한 기기에서는 높은 수준의 CMRR이 요구된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